해외 토막 뉴스
Repost @theeconomist
by @media.repost:
From @1843mag: Timbuktu, a byword for exotic remoteness,
팀북투(서아프리카 말리의 도시)는 이국의 대명사로서
has loomed large in the western imagination for centuries.
수세기동안 서양인들의 상상력을 자극해왔다
In medieval times the city was a stopping-off point for trade caravans,
중세시대에 이 도시는 무역상들의 경유지였는데
 carrying gold, slaves, salt and ivory,
그들은 금 노예 소금 상아를 싣고
that crisscrossed the Sahara
사하라를 건너
on their way from the west-African kingdoms to the Mediterranean.
(그들이 각각 출발해온)서아프리카 왕국들에서 지중해로 갔다
It became fabulously wealthy.
(그러니 자연적으로) 이 도시는 엄청난 부를 누렸다
In the 14th century the Malian King Mansa Musa I
14세기엔 말리 왕 만사 무사1세가
 – possibly the richest man the world has ever known –
-(참고로)그는 세상에서 가장 부유했다고 추정되는 인물-
 travelled through Timbuktu on a pilgrimage to Mecca
팀북투를 거쳐 메카로 이동했는데
 with an entourage of 12,000 slaves and enough gold
12000명의 노예들을 이끌고 금도 가져가면서
to cause hyperinflation in Mecca, Cairo and Medina.
메카 카이로 메디나에서 초인플레를 일으켰다
 But by the 19th century Timbuktu’s glory days were long gone
하지만 19세기에 이르러 팀북투의 영화는 쇠해졌고
 – and the Timbuktu of 2019 is an even sorrier sight.
오늘날은 훨씬 더 보기 안쓰러울 지경이다
 Decades of neglect by the Malian government and desertification in the surrounding countryside
수십년간 말리정부의 방치와 주변의 사막화로
 has left it impoverished.
도시는 황폐해졌다
 Today, it’s too dangerous for all but the hardiest travellers.
현재는 정말 건장한 여행자가 아니고선 그곳을 통과하는게 몹시 위험할 지경
 To read more about Timbuktu, from the city’s golden past to the complicated conflict tearing it apart at present, hit @1843mag and follow the link in the bio. Image: AKG #timbuktu #history #africa #mali #tra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