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에 해당되는 글 3건

해외 토막 뉴스

Repost @guardian
・・・
Don't these photographs alone just lift your mood?

Alpaca and llama therapy is one of the most popular alternative therapies available for the 152 people living in this care home in the German town of Rudolstadt.

=> 사진만 봐도 기분이 좋아지지 않는가? 알파카와 라마 치료는 루돌스타트이란 독일마을의 요양원 입소자들 152명이 사용하는 가장 인기있는 대체치료 중 하나

Tobias Zeilinger, the head of the retirement home in the Thuringia region, said patients with dementia have been reacting well to the large fluffy animals.

=> 써린지아 지역의 요양원 책임자인 토비아 젤링거 왈, 치매 환자들이 크고 폭신한 동물들에 반응이 좋다고.

During the visits, alpacas and llamas are taken up the lift to meet residents in their rooms, before taking a trip down to the garden where people take turns brushing them.

=> 알파카와 라마를 데려오면 방안에있는 입소자들부터 만나게 한 후 정원을 돌아나니게 하며 사람들이 교대로 쓰다듬어보게 한다고.

After consistently positive feedback, the decision was made to offer the animal visits regularly at the care home.

=> 반응이 꾸준히 좋아서 정기적으로 시행하기로 결정

해외 토막 뉴스

Repost @guardian
・・・
Berlin has had what is being called a 'watershed moment'.

Citizens gathered enough signatures to trigger a referendum on whether to take properties back from 'mega landlords' (those who own over 3000 properties in their city).

=> 베를린 시민들이 투표에 부칠 수 있을 만큼 동의서명을 얻는 주제는, 초특급 부동산 부자들(시내에 3천 건 이상의 부동산을 소유한 사람들)에게서 자산을 되돌려받느냐마느냐!

The referendum took place earlier this week and was backed with a majority in favour of putting around 11% of all apartments in Berlin back into state ownership.

This sets a major precedent for many other cities that now find themselves in a housing crisis.

=> 이번주 초에 있었던 투표에서 대다수가 베를린 아파트의 11%를 국유화하는 것에 찬성. 이는 주택문제가 심각한 다른 지역에도 유의미한 전례.


참고로 원 게시물의 슬라이드 내용을 요약하자면, 베를린 시민 100만명 이상이 주택을 상품이 아닌 사회재로 취급하자는 취지의 사회운동을 벌이는 중. 캠페인의 의도는, 국가가 부동산부자들에게 주택을 수용(부동산소유주의 의지와 상관없이 국가가 공공목적으로 부동산을 국유화하는 것)해서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한 주택문제를 해결하라는 것. 수용하는 대가는 지불하되 현재 시세대로 줄 필요 없으며 수용된 부동산에서 나오는 월세를 이용하여 장기적으로 지불하면 된다는 게 이들의 주장. 그래도 집값이 적당한 편이었던 베를린도 지난10년간 젠트리피케이션(일대가 고급주택화 되면서 원래 살던 사람들이 비용감당을 못해 밖으로 밀려나는 현상)으로 인해 집값이 두 배 이상 상승한 상황. 베를린 시민의 80%가 세입자. 평균 월급의 65%를 월세로 지불하는 런던이나 평균 월세가 2천 파운드가 넘어가는 더블린 같은 다른 도시들처럼 주택문제가 심각. 이번 투표가 법적구속력은 없지만 과반수 이상이 찬성했다는 점에서 논의가 진전될 힘을 얻었다고. 반대자들은 위헌이라지만 독일헌법14조에 따르면 공공이익을 위한 수용은 가능. 베를린의 첫 여성시장도 처음엔 강하게 반대하다가 투표결과가 나오니까 존중의사표시.


'해외 토막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사의 트로이소행성 추적  (0) 2021.10.19
세인트 킬다  (0) 2021.10.19
그레이트 딕스터, 영국식 정원  (0) 2021.10.19
포켓몬 오레오 쿠키  (0) 2021.10.19
터키 동물농장 탈출사건  (0) 2020.12.20
해외 토막 뉴스

Repost @lemondefr
by @media.repost:


En juin 1927, Gunta Stölzl raye la mention studentin (« étudiante ») de sa carte de membre du Bauhaus.
1927년6월 군타스퇴츨은 바우하우스 멤버증에서 학생이란 말 지우고,
A la main, à la place, elle écrit master (« maître »).
손으로 그 자리에 장인이라 썼다.
C'est la première femme de l’école à décrocher ce titre,
이 학교에서 이 타이틀 거머쥔 첫 여성
qui l’élève au rang de Vassily Kandinsky, Paul Klee, Lyonel Feininger, Gerhard Marcks, Johannes Itten, ces grands hommes qui l’avaient formée.
스스로를 바실리칸딘스키, 폴클리, 리오넬훼이닌저, 게르하드마크스, 요하네스이텐, 명성지녔던 이 남성들지위로 격상
Dans cette école d’art avant-gardiste créée au lendemain de la première guerre mondiale par Walter Gropius,
아방가르드 예술학교는 2차세계대전여파로 발터그로피우스가 설립
qui souhaitait mettre l’architecture au service d’un grand projet de transformation de la société,
그는 건축으로 사회변화 대계획에 참여하고자했으나
la place du féminin était ambivalente.
여기서 여성의 지위는 모순적
Avec son programme aux accents révolutionnaires, le Bauhaus était la cible des milieux conservateurs de Weimar.
개혁프로그램으로 인해 바우하우스는 바이마르 보수층 대상
Pour sécuriser ses subventions, Gropius dut lâcher du lest et c’est du côté des femmes qu’il l’a cherché.
정부보조금 받으려고 그로피우스는 한 발 양보했고 이는 그가 모집하려는 여성들에게 유리하게 작용
Il a demandé au jury d’être plus exigeant envers elles
et aux professeurs de les orienter vers le travail du textile, considéré comme relevant « naturellement » du féminin.
그는 평가자들에게 여학생들을 까다롭게 평가하고, 교수들에겐 그들을 직조분야로 방향을 잡아줄 것을 요구했는데, 이 분야가 여성에게 자연스럽다고 판단
L’architecture leur est restée interdite, « pour leur bien et pour celui de l’école » soutenait Gropius
건축은 여학생들에게 금지시키면서 "그들 자신과 학교를 위해서"라고 그로피우스가 말했고
qui estimait que les hommes pensaient en trois dimensions, et les femmes seulement en deux.
그가 주장하길 남성들은3차원으로 생각하는데, 여성들은2차원으로밖에 못한다고
Moment important dans l’histoire de l’émancipation des femmes, le Bauhaus n’en aura été qu’une étape qui prit fin avec la fermeture de l’école par les nazis, en 1933.
여성해방역사에서중요한시점에 바우하우스는 1933년 나치에의해 폐교
Et les femmes du Bauhaus qui ont imprimé leur marque se comptent, de fait, sur les doigts d’une main.
흔적을남긴바우하우스여성들은 다섯손가락에꼽을정도
-
Sur le toit du Bauhaus à Dessau en 1926
사진은 1926년 데사우 바우하우스 루프탑
Photo : AKG-IMAGES

1
블로그 이미지

알아두면 이익이 되는 지식저널 (구독하시고 유용한 정보 챙기세요.)

지식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