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에 해당되는 글 3건

해외 토막 뉴스

Repost @npr
・・・
US officials around the world have been getting sick with something called Havana Syndrome. What causes it, and why, are still a mystery.
=>전세계에서 공무 중인 미국인들이 하바나증후군이라 불리는 것을 앓아왔다. 원인은 여전히 미스터리.

CIA 소속으로 모스코바에서 근무중이라고 상상해보자.

한밤중에 어지러움, 현기증, 오심으로 잠에서 깬다. 수개월 후에도 여전히 극심한 편두통.

4년전 마크 폴리메로파울로에게 일어난 일이다.

다른 미국의 공무자들처럼 그도 하바나 신드롬이라 불리는 증상을 보고했는데, 2016년 말경 하바나 쿠바에서 이 현상의 첫 사례가 보고되면서 그런 이름이 붙었다.

리포터 그렉 마이어가 그를 인터뷰했으니 들어보자.

"의사들을 전전하며 MRI, CT, 엑스레이 수없이 찍었죠.

결국 한 신경의가 후두신경통이란 진단을 내렸습니다."

일부 과학자들은 방사선 때문일지도 모른다지만 확실하지 않다.

한편 바이든 대통령은 이번달 초에 하바나 법을 통과시켰는데, 이런 경우 뇌손상을 겪는 연방공무원들이 경제적 지원을 받게 될 거다.

자, 그럼 원인이 무엇인가?

왜 전세계 미국의 공무자들이 최근 같은 증후군을 앓기 시작했는가?

의도적 공격이 있었나?

현재로선 여전히 미스터리다.

해외 토막 뉴스

Repost @guardian
・・・
Could this be the significant step in the long quest to one day use animal organs for life-saving transplants?

In a major scientific advance, surgeons at a New York hospital have attached a pig’s kidney to a human and watched it begin to work - it filtered waste and produced urine – and for the first time ever did not trigger a rejection.

=> 뉴욕병원 외과의들이 돼지의 신장을 인간에게 이식한 결과 정상기능 - 노폐물 걸러서 소변으로 생성 - 처음으로 (면역)거부반응도 없었다고.

The researchers kept a deceased woman’s body going on a ventilator after her family agreed to the experiment, feeling that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some good could come from this gift."

=> 연구진은 인공호흡기로 연명하는 여성 고인(뇌사자)의 가족에게 실험에 대한 동의를 받으며, "이 기증이 유의미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했다고.

Pigs have been the most recent research focus to address the organ shortage, but a sugar in their cells, which is foreign to the human body, causes immediate organ rejection.

=> 돼지들이 최근 연구에서 집중되는 이유는 장기부족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그러나 돼지 세포 안에 있는 당이 인간과 맞지 않아 즉각적인 거부반응 유발

The kidney for this experiment came from a gene-edited animal, engineered to eliminate that sugar and avoid an immune system attack.

=> 이번 실험에 사용된 신장은 유전자조작된 동물의 것으로, 당을 제거하고 면역계공격을 피하게끔 설계

Several biotech companies are in the running to develop suitable pig organs for transplant to help ease the human organ shortage.

=> 일부 바이오테크사들은 인간장기부족 현상을 완화하고자 이식용 돼지 장기 개발에 총력

More than 90,000 people in the US are in line for a kidney transplant. Every day, 12 people die while waiting.

=> 미국의 9만명이상 신장이식 대기 중. 매일 12명이 대기중 사망.

But for many people raising pigs to be organ donors feels morally wrong, though it may grow more acceptable if concerns about animal welfare can be addressed, says Karen Maschke, a research scholar at the Hastings Center. “The other issue is going to be: Should we be doing this just because we can?” Maschke said.

=> 그러나 헤이스팅스 센터의 연구자 카렌 매쉬크 왈, 동물복지에 대한 우려가 해결되어 좀 더 수용적이 되어도 많은 사람들은 장기공여를 위한 돼지사육이 비도덕적이라 생각한다고. "다른 문제는: 가능하다는 이유로 이렇게까지 해야하나?"라고 첨언.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Repost @bbcnews with @make_repost
・・・
US surgeons say they have successfully given a pig's kidney to a person in a transplant breakthrough they hope could ultimately solve donor organ shortages.

The recipient was brain-dead, meaning they were already on artificial life support with no prospect of recovering.

=> 미국 외과의들이 돼지신장 인간이식에 성공하며 공여장기부족 사태에 대한 궁극적 돌파구가 될거라 기대. 공여자는 뇌사자로, 인공호흡기로 연명하며 회복가능성 없는 상태

The kidney came from a pig that had been genetically modified to stop the organ being recognised by the body as "foreign" and being rejected.

Experts say it is the most advanced experiment in the field so far.

=> 이번 신장은, 인간의 몸이 "낯설다"라고 인식하여 거부하는 걸 막기 위해 유전자조작된 돼지의 것. 전문가들 왈, 현재까지 가장 발전된 실험이라고.

Using pigs for transplants is not a new idea - pig heart valves are already widely used in humans. And their organs are a good match for people when it comes to size.

=> 돼지를 이식에 사용하는 건 새롭지 않은데, 돼지 심장판막이 이미 인간에게 널리 사용되며, 돼지 장기가 사이즈 측면에서도 인간에게 딱 맞음.

해외 토막 뉴스

Repost @guardian
・・・
Don't these photographs alone just lift your mood?

Alpaca and llama therapy is one of the most popular alternative therapies available for the 152 people living in this care home in the German town of Rudolstadt.

=> 사진만 봐도 기분이 좋아지지 않는가? 알파카와 라마 치료는 루돌스타트이란 독일마을의 요양원 입소자들 152명이 사용하는 가장 인기있는 대체치료 중 하나

Tobias Zeilinger, the head of the retirement home in the Thuringia region, said patients with dementia have been reacting well to the large fluffy animals.

=> 써린지아 지역의 요양원 책임자인 토비아 젤링거 왈, 치매 환자들이 크고 폭신한 동물들에 반응이 좋다고.

During the visits, alpacas and llamas are taken up the lift to meet residents in their rooms, before taking a trip down to the garden where people take turns brushing them.

=> 알파카와 라마를 데려오면 방안에있는 입소자들부터 만나게 한 후 정원을 돌아나니게 하며 사람들이 교대로 쓰다듬어보게 한다고.

After consistently positive feedback, the decision was made to offer the animal visits regularly at the care home.

=> 반응이 꾸준히 좋아서 정기적으로 시행하기로 결정

1
블로그 이미지

리더(reader)가 곧 리더(leader), 리더들의 스토리를 전합니다.

리더오브리더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