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 해당되는 글 12건

해외 토막 뉴스

Repost @npr
・・・
US officials around the world have been getting sick with something called Havana Syndrome. What causes it, and why, are still a mystery.
=>전세계에서 공무 중인 미국인들이 하바나증후군이라 불리는 것을 앓아왔다. 원인은 여전히 미스터리.

CIA 소속으로 모스코바에서 근무중이라고 상상해보자.

한밤중에 어지러움, 현기증, 오심으로 잠에서 깬다. 수개월 후에도 여전히 극심한 편두통.

4년전 마크 폴리메로파울로에게 일어난 일이다.

다른 미국의 공무자들처럼 그도 하바나 신드롬이라 불리는 증상을 보고했는데, 2016년 말경 하바나 쿠바에서 이 현상의 첫 사례가 보고되면서 그런 이름이 붙었다.

리포터 그렉 마이어가 그를 인터뷰했으니 들어보자.

"의사들을 전전하며 MRI, CT, 엑스레이 수없이 찍었죠.

결국 한 신경의가 후두신경통이란 진단을 내렸습니다."

일부 과학자들은 방사선 때문일지도 모른다지만 확실하지 않다.

한편 바이든 대통령은 이번달 초에 하바나 법을 통과시켰는데, 이런 경우 뇌손상을 겪는 연방공무원들이 경제적 지원을 받게 될 거다.

자, 그럼 원인이 무엇인가?

왜 전세계 미국의 공무자들이 최근 같은 증후군을 앓기 시작했는가?

의도적 공격이 있었나?

현재로선 여전히 미스터리다.

해외 토막 뉴스

Repost @bbcearth
・・・
The life and death of a tornado 🌪️

Tornados are powerful, spinning funnels of air which can vary from small and weak to huge and devastating. They are formed in thunderstorms when warm air collides with cold air, creating a violently rotating updraft.

=>토네이도의 생성과 소멸

토네이도는 깔때기 모양의 강력한 회전 기류로 작고 약한 것부터 거대하고 파괴적인 것까지 다양. 난기류가 한기류와 충돌하는 폭풍에서 형성, 난폭하게 회전하는 상승기류를 생성.

해외 토막 뉴스

Repost @guardian
・・・
The offspring of hippos once owned by Colombian drug kingpin Pablo Escobar can be recognized as people or “interested persons” with legal rights in the US following a federal court order.
=> 콜롬비아 마약의 핵심인물 파블로 에스코바의 소유였던 하마 자손들이 연방법원명령에 의해 미국에서 법적권리를 갖는 인간 혹은 "이해관계인'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생김.

The case involves a lawsuit against the Colombian government over whether to kill or sterilize the hippos, whose numbers are growing at a fast pace and pose a threat to biodiversity.
=>콜롬비아 정부를 상대로 제기된 소송의 관건은 하마들을 죽일지 불임시술 할지에 대한 것으로, 하마 수가 빠르게 늘어 생태다양화를 위협.

The so-called “cocaine hippos” – pictured above – are descendants of animals that Escobar illegally imported to his Colombian ranch in the 1980s when he reigned over the country’s drug trade.
=> 소위 "코카인 하마"는 에스코바가 자국마약거래를 주름잡던 1980년대 콜롬비아 목장에 불법으로 들인 동물들 후손.

After his death in a 1993 shootout with authorities, the hippos were abandoned at the estate and left to thrive, with no natural predators. Their numbers have increased in the last eight years from 35 to somewhere between 65 and 80.
=>그가 1993년 당국과의 총격전에서 사망한 후 하마들은 그의 저택에 방치되어 번성, 천적이 없어서 지난 8년간 35마리에서 65~80마리까지 증가

A group of scientists has warned that the hippos pose a threat to the area’s biodiversity and could lead to deadly encounters with humans. They are advocating for some of the animals to be killed. A government agency has started sterilizing some of the hippos, but there is a debate on what are the safest methods.
=>과학자들은 하마들이 해당지역 생태다양화를 위협하고 인간에게 치명상을 입힐 수도 있다며 일부 죽이라고 주장. 정부기관은 일부 하마에게 불임술을 실시했으나 안전 논란이 있음.

An animal rights groups is hailing the order as a milestone victory in the longstanding efforts to sway the US justice system to grant animals personhood status.
=>동물권리단체는 미법원명령에 대해, 동물에게 인간의 지위를 허용하라고 미국사법계를 설득해온 오랜 노력이 결실을 보게 된 시작점이라며 환영

But the order, granted by federal magistrate judge Karen Litkovitz in Cincinnati, will not carry any weight in Colombia where the hippos live, a legal expert said.
=>그러나 신시내티 연방치안판사 카렌 리트코빗츠가 내린 명령은 하마가 사는 콜롬비아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할 거라는 게 한 법률전문가의 견해.

Christopher Berry, the lead attorney for the Animal Legal Defense Fund, called it a narrow but profound ruling.
=> 크리스토퍼 베리는 동물변호기금의 수석변호사로, 해당 명령의 폭이 좁지만 중대한 판결이라 해석.
“This really is part of a bigger movement of advocating that animals’ interest be represented in court,” he said. “We’re not asking to make up a new law. We’re just asking that animals have the ability to enforce the rights that have already been given to them.”
=>"이번 명령은 동물의 권리가 법정에서 변호되어야한다는, 큰 운동의 일환이다. 신법을 만들라는 게 아니다. 동물들에게 이미 주어진 권리를 집행할 능력을 갖도록 해주자는 것이다."라고 주장.

해외 토막 뉴스

Repost @guardian
・・・
Could this be the significant step in the long quest to one day use animal organs for life-saving transplants?

In a major scientific advance, surgeons at a New York hospital have attached a pig’s kidney to a human and watched it begin to work - it filtered waste and produced urine – and for the first time ever did not trigger a rejection.

=> 뉴욕병원 외과의들이 돼지의 신장을 인간에게 이식한 결과 정상기능 - 노폐물 걸러서 소변으로 생성 - 처음으로 (면역)거부반응도 없었다고.

The researchers kept a deceased woman’s body going on a ventilator after her family agreed to the experiment, feeling that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some good could come from this gift."

=> 연구진은 인공호흡기로 연명하는 여성 고인(뇌사자)의 가족에게 실험에 대한 동의를 받으며, "이 기증이 유의미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했다고.

Pigs have been the most recent research focus to address the organ shortage, but a sugar in their cells, which is foreign to the human body, causes immediate organ rejection.

=> 돼지들이 최근 연구에서 집중되는 이유는 장기부족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그러나 돼지 세포 안에 있는 당이 인간과 맞지 않아 즉각적인 거부반응 유발

The kidney for this experiment came from a gene-edited animal, engineered to eliminate that sugar and avoid an immune system attack.

=> 이번 실험에 사용된 신장은 유전자조작된 동물의 것으로, 당을 제거하고 면역계공격을 피하게끔 설계

Several biotech companies are in the running to develop suitable pig organs for transplant to help ease the human organ shortage.

=> 일부 바이오테크사들은 인간장기부족 현상을 완화하고자 이식용 돼지 장기 개발에 총력

More than 90,000 people in the US are in line for a kidney transplant. Every day, 12 people die while waiting.

=> 미국의 9만명이상 신장이식 대기 중. 매일 12명이 대기중 사망.

But for many people raising pigs to be organ donors feels morally wrong, though it may grow more acceptable if concerns about animal welfare can be addressed, says Karen Maschke, a research scholar at the Hastings Center. “The other issue is going to be: Should we be doing this just because we can?” Maschke said.

=> 그러나 헤이스팅스 센터의 연구자 카렌 매쉬크 왈, 동물복지에 대한 우려가 해결되어 좀 더 수용적이 되어도 많은 사람들은 장기공여를 위한 돼지사육이 비도덕적이라 생각한다고. "다른 문제는: 가능하다는 이유로 이렇게까지 해야하나?"라고 첨언.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Repost @bbcnews with @make_repost
・・・
US surgeons say they have successfully given a pig's kidney to a person in a transplant breakthrough they hope could ultimately solve donor organ shortages.

The recipient was brain-dead, meaning they were already on artificial life support with no prospect of recovering.

=> 미국 외과의들이 돼지신장 인간이식에 성공하며 공여장기부족 사태에 대한 궁극적 돌파구가 될거라 기대. 공여자는 뇌사자로, 인공호흡기로 연명하며 회복가능성 없는 상태

The kidney came from a pig that had been genetically modified to stop the organ being recognised by the body as "foreign" and being rejected.

Experts say it is the most advanced experiment in the field so far.

=> 이번 신장은, 인간의 몸이 "낯설다"라고 인식하여 거부하는 걸 막기 위해 유전자조작된 돼지의 것. 전문가들 왈, 현재까지 가장 발전된 실험이라고.

Using pigs for transplants is not a new idea - pig heart valves are already widely used in humans. And their organs are a good match for people when it comes to size.

=> 돼지를 이식에 사용하는 건 새롭지 않은데, 돼지 심장판막이 이미 인간에게 널리 사용되며, 돼지 장기가 사이즈 측면에서도 인간에게 딱 맞음.

해외 토막 뉴스

Repost @nytimestravel
by @media.repost:


Are you brave enough? These bathers look cozy now at the Strawberry Park Hot Springs in Colorado, where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reaches 105 degrees. But for chills, they'll plunge into the icy river adjoining the pools or roll in snowbanks. These adult-only springs are also clothing optional after dark.
콜로라도 스트로베리 공원 온천 수온 105도(화씨). 더우면, 풀과 연결된 차가운 강물로 풍덩 혹은 눈밭에서 뒹굴. 이 어른전용온천은 일몰 후 수영복 착용은 (의무 아닌) 선택
Tap the link in bio for a guide to the laidback ski resort nearby, #SteamboatSprings. Words by @eglusac, photos by @cainedelacy.

해외 토막 뉴스

Repost @larepubblica
by @media.repost:


#12novembre 1929 - nasce la meravigliosa #GraceKelly, musa di #Hitchcock e Principessa di Monaco
1929년11월12일 그레이스켈리 출생, 히치콕 뮤즈 & 모나코 공주 "돌아보지 않아요. 후회보단 추억하길 더 좋아해요" #AccaddeOggi 🔄 Seguici su @larepubblica: il mondo in diretta anche su Instagram

카테고리 없음

Repost @larepubblica
by @media.repost:


Ecco la scala interna del museo #Guggenheim di #NewYork che compie 60 anni.
여기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 내부계단은 올해로 60세
L'iconico edificio, realizzato da Frank Lloyd Wright, è considerato un capolavoro dell'architettura contemporanea.
상징적 구조물로 프랭크로이드라이트가 실현한 동시대 건축걸작
Esternamente appare come un nastro bianco avvolto attorno a un cilindro più ampio in cima rispetto alla base.
밖에서 보면 하얀 리본 띠가 원통으로 넓게 위에서 아래까지 두르는 모양새
Nel 2019 è stato riconosciuto dall'#Unesco patrimonio mondiale dell'umanità.
올해 유네스코 세계인류유산으로 지정 :arrows_counterclockwise: Seguici su @larepubblica: il mondo in diretta anche su Instagram

해외 토막 뉴스

Repost @newyorkercartoons
by @media.repost:
A cartoon by @rozchast. #TNYcartoons


지하철카드 에러메시지들

-잔액부족
- 잔액충분, 그러나 하하, 안 됨.
-카드에서 냄새남.
-회전대가 주무시는중
-계속 긁어보시든가. 뒷사람들이 화내기전까진.

해외 토막 뉴스

Repost @nytimes
by @media.repost:

 


“This moment has a kind of after-hours-at-the-Cotton-Club vibe,” said Zack Winokur, the director of “The Black Clown,” a musical-theater adaptation of the 1931 Langston Hughes poem at Lincoln Center’s Mostly Mozart Festival.
"이 순간은 일종의 코튼클럽영업 후 분위기"라고, 링컨센터 모차르트 축제 에서의 1931년 랭스턴 휴의 뮤지컬로 개작한 작품 "흑인광대 " 디렉터 잭 위노커가 말함.
In it, Zack and Chanel DaSilva, the show’s choreographer, evoke the spirits of Josephine Baker, the Nicholas Brothers and Cab Calloway.
이 작품에 잭과 안무가 샤넬 다실바는 조세핀베이커, 니콜라스 형제, 그리고 캅 칼로웨이의 정신을 환기.
“It’s the eternal joy and glee of African-Americans in society behind the mask,” Chanel said. “We have our guard down.” 샤넬 왈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사회에서 숨기고 사는 영원한 기쁨과 환희를, 모든걸 내려놓고 보여줌."
In this section of “The Black Clown,” which opens Wednesday at the Gerald W. Lynch Theater at John Jay College, Darius Barnes (in the white tank) and Evan Tyrone Martin play the Nicholas Brothers, the electrifying, acrobatic tap duo.
존제이대학 제럴드W린치 극장에서 수요일에 시작되는 공연의 위 장면에서 흰 상의 입은 다리우스 반즈와 에반 타이론은 활력넘치는 아크로바틱 탭 듀오 니콜라스형제를 연기
While they don’t quote from the brothers directly, Darius and Evan have been studying their overall approach to movement:
그대로 따온건 아니지만 그 전체적인 동작연구 “Mostly, we watch their port de bras,” Darius told the #nytimes writer @giadk, referring to the carriage of the arms.
다리우스왈, 팔을 어쩌는지를 언급하며 "주로 팔의 자세를 봅니다" “How loose they are. It’s a lot of work in the legs, but their upper bodies are so easy. That is where I am calm.” "얼마나 느슨한지. 다리에 기술이 필요해요. 그럼 상체의 힘이 한결 풀리면서 편히 움직일수 있어요."
@xdonavon made this video for #SpeakingInDance, our weekly series exploring the world of #dance.

해외 토막 뉴스

Repost @newyorkermag
by @media.repost:

 


Shortly after her marriage ended, Nora Ephron came across an apartment in the Apthorp, a celebrated Beaux-Arts building on the Upper West Side, and fell in love (again). 노라에프론 , 이혼직후 어퍼웨스트사이드 의 유명한 보자르빌딩 앱소프를 지나다 (건물과) 사랑 에 빠졌다고.
“I honestly believed that at the lowest moment in my adult life I’d been rescued by a building,” she writes.
성인이된후로 최악이었던 시기에 건물 하나가 자길 살렸다고 진심으로 믿었다는데 “All right, I’m being melodramatic, but that’s what I believed.” 너무 감상적인지 몰라도 정말 그랬다는 그녀의 이야기는 본 언론사 기사에서 확인
Tap the link in our bio to read about Eprhon’s ten years of giddy, rent-stabilized delirium. Photograph from RGR Collection / Alamy. #NewYorkerArchive #TBT
#미국#할리우드#영화#감독#작가#뉴욕#도시#예술

1 2
블로그 이미지

알아두면 이익이 되는 지식저널 (구독하시고 유용한 정보 챙기세요.)

지식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