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토막 뉴스'에 해당되는 글 230건

해외 토막 뉴스
Repost @nytimes
by @media.repost:

Carol Spencer, 86, may be the most influential fashion designer you’ve never heard of. From 1963 to 1999, she was @Barbie’s fashion designer, making wedding dresses, saris, go-go boots and caftans in miniature.
86세인 캐롤 스펜서는  아마도 가장 영향력있는 패션 디자이너 일텐데 들어본적은 없을 것이, 그건 바로 바비 인형의 패션디자이너 였으니까.(ㅋ) 웨딩드레스 사리 고고부츠 카프탄 을 미니어처로 만들었다고.
 It was rare that a woman could be a fashion designer back then, she said.
“You could be a teacher, nurse, secretary or clerk, but wife and mother were the big ones.”
당시 여성 패션디자이너는 거의 없었다며 그녀가 말하길, (여성들의 직업이) 기껏해야 교사 간호사 비서 점원이었고 대부분은 가정주부였다고.
 @katierosman spent time with the doll dresser extraordinaire — drinking out of #Barbie tea cups! — in advance of the release of her new book, “Dressing Barbie,” which is out now.
"바비 옷 입히기"란 책을 냈다고 하네요.
@emilyberl shot these photos for @nytimesfashion. Visit the link in our profile to read more.
해외 토막 뉴스
Repost @ellefr by @media repost: L’édito du magazine ELLE, en kiosque le 08 février :
« A nos enfants »

« Rien ne peut racheter une seule larme d’un seul enfant » :
"그 어떤 것도 아이가 흘리는 눈물에 보상이 되지 못한다"
cette phrase est signée Dostoïevski (« Les Frères Karamazov »),
 도스토예프스키"카라마조프가 형제들"의 구절이며
et nous le savons tous intimement.
우리도 잘 알고 있는 사실.
 D’où notre effroi face au nombre d’enfants en danger en France. 
이에 프랑스의 위기에 처한 수많은 아이들이 걱정되는 바.
Dans l’ombre de leur propre foyer, 그들 집에서
mais aussi sous nos yeux souvent aveugles,
우리 눈이 미치지 않는 곳에서
ils sont chaque jour si nombreux à être battus, violés, maltraités, humiliés. 
매일 다수가 맞고 추행당하고 학대당하고 언어폭력 당한다.
 Chaque semaine, près de deux d’entre eux en meurent –
매주 두명꼴로 사망-
 souvent à moins de 5 ans,
 주로 5세 이하
nous disent les maigres statistiques existant sur le sujet.
이에 대한 통계도 그나마 빈약.
 C’est pourquoi la rédaction de ELLE a lancé un appel
 그래서 본 잡지사에서 청원글을 넣었다
 pour la protection de l’enfance, le 2 novembre dernier.
 작년 11월2일 아동보호건으로
 Nous demandions au gouvernement
 정부에 요청했다 
la création d’un ministère dédié à l’enfance
아동전담부서 창설을,
 permettant de mieux centraliser et coordonner l’action des services sociaux.
 더 집중해서 사회적조치를 강구할수있도록.
Cet appel, 
이청원엔
assorti d’une interview de la ministre de la Santé, Agnès Buzyn, 
보건부장관 아그네스뷔쥔의 인터뷰 첨부됐고,avait été aussitôt signé par cent personnalités,
 백명이 서명했는데
parmi lesquelles
이들중엔
Patrick Modiano, Alain Souchon, Leïla Slimani, Carole Bouquet, Guillaume Canet, Philippe Djian, Frédéric Lenoir, Jean-Christophe Rufin, Virginie Efira, Marie Ndiaye, Karin Viard, Delphine de Vigan, Natalia Vodianova, Joann Sfar, Marie Darrieussecq...et tant d’autres, bouleversées par cette réalité 위에 언급된 이들(주로 작가,배우,모델,감독 등)과 이 현실을 개탄하는 많은 다른 이들이 있다. (voir la liste des signa- taires sur elle.fr). Moins de trois mois plus tard, le 25 janvier,
 3개월도 안 된 1월25일
 le gouvernement annonce la nomination d’Adrien Taquet comme secrétaire d’État à la Protection de l’enfance
:정부가 아동보호국장으로 아드리앵 타켓을 임명했다는게 c’est une victoire.
 하나의 성과.
 Très engagée sur le sujet, discrète mais opiniâtre, Brigitte Macron aurait œuvré pour cette nomination.
매우 고심해서 신중하고도 뚝심있게 브리짓마크롱이 결정했을듯하다 [1/2]
 ✍🏻Dorothée Werner, grand reporter © Getty
해외 토막 뉴스
Repost @lemondefr
by @media.repost:

Elsa Lepoivre, à la Comédie Française, le 19 avril.
엘사 르프와브흐, 코메디 프랑세즈(파리국립극장)에서, 4월19일에.
A l’affiche de trois pièces à la Comédie-Française ce printemps
올봄 코메디 프랑세스에서 세편(언론사 포스팅날짜기준)의 작품에 출연해온
, la comédienne puise au plus profond d’elle-même les émotions de ses personnages.
이 배우는 인물들의 감정을 심오하게 끌어내오고 있다.
Cette saison,
이번 시즌에서
 elle aura simplement été à l’affiche de quatre productions :
그녀가 등장하는 (총)네 편(현지날짜로 4월말부터 시작될 이보 연출작까지 포함해서)의 작품들은:
Lucrèce Borgia, de Victor Hugo, où elle a repris le rôle-titre initialement tenu par Guillaume Gallienne ;
빅토르위고의 루크레치아, 처음엔 귈라움 갈리엔느에게 배정됐던 주제역을 맡았고
Fanny et Alexandre, d’après Ingmar Bergman, mis en scène par Julie Deliquet ;
잉마르 베리만(스웨덴영화감독)의 "화니와 알랙산더"(이 영화를 연극으로 각색한 작품은), 연출은 줄리 델리케트
Les Damnés, le spectacle créé par Ivo van Hove à partir du scénario du film de Luchino Visconti.
"저주받은이들" 이보반호브(덴마크 연극연출가)가 각색 (및 연출)한 이 작품의 원작은 루치노 비스콘티(이탈리아 영화감독, 그 유명한 비스코티가문사람 맞음ㅋ)의 영화 시나리오
Ivo van Hove qu’elle retrouve en cette fin de saison avec une nouvelle création,
이보반호브를 이번 시즌말미에 다시 만나게 될 새 작품은(현재기준으로 시작되었고 7월까지 공연될)
Electre/Oreste,
엘렉트라/오레스테스,
à partir de deux pièces d’Euripide,
원작은 에우리피데스의 작품 두 편이며 (이 고대그리스비극작가의 현재까지 전해지는 작품수가 두편)
 où elle joue le double rôle de Clytemnestre et d’Hélène.
-여기선 클리템네스트라와 헬렌느, 1인2역한다.
Photo : Claude Gassian #pourleMonde
-
#Culture #ComédieFrançaise

해외 토막 뉴스
Repost @nytimes
by @media.repost:


Like many first graders on their first day of school,
초등학교 1학년 첫날처럼
 Hwang Wol-geum cried.
황월금 씨는 울었지만
But these were tears of joy —
이건 기쁨의 눈물이었는데
 and Wol-geum is 70 years old.
월금 씨는 지금 70세다.
 As the birthrate in South Korea plummets,
대한민국의 출산율 저하로
rural schools are emptying.
지방학교들이 텅텅 비고 있다.
 To save itself from closing,
폐교를 막기위해
 Daegu Elementary in Gangjin
강진 의 대구초에선
 has enrolled older villagers and grandmothers like Wol-geum
월금씨처럼 나이있는 마을주민들과 할머니들을 입학시켜왔는데
 who have dreamed of learning to read.
그들은 글자읽는 법을 배우길 꿈꿔왔다고.
 Decades ago,
수십년전
 Korean families often focused on educating their sons
한국가정에선 아들교육에만 집중해왔고
 and many girls were expected to stay home and look after siblings while their parents worked.
딸들은 대부분 부모들이 일하는 동안 집에서 다른 형제자매들 돌보게 했었다.
“I couldn’t believe this was actually happening to me,”
"이런 일이 정말 나에게 일어나다니 믿기지않아요." 라고
 Wol-geum said about going to school.
월금씨가 학교다니는 것에 대해 말했다
 “Carrying a school bag has always been my dream.”
"학교가방 매는 게 늘 꿈이었요."라고도.
 @nytchangster shot these photos. Visit the link in our profile to see more.

해외 토막 뉴스
Repost @theeconomist
by @media.repost:
From @1843mag: Timbuktu, a byword for exotic remoteness,
팀북투(서아프리카 말리의 도시)는 이국의 대명사로서
has loomed large in the western imagination for centuries.
수세기동안 서양인들의 상상력을 자극해왔다
In medieval times the city was a stopping-off point for trade caravans,
중세시대에 이 도시는 무역상들의 경유지였는데
 carrying gold, slaves, salt and ivory,
그들은 금 노예 소금 상아를 싣고
that crisscrossed the Sahara
사하라를 건너
on their way from the west-African kingdoms to the Mediterranean.
(그들이 각각 출발해온)서아프리카 왕국들에서 지중해로 갔다
It became fabulously wealthy.
(그러니 자연적으로) 이 도시는 엄청난 부를 누렸다
In the 14th century the Malian King Mansa Musa I
14세기엔 말리 왕 만사 무사1세가
 – possibly the richest man the world has ever known –
-(참고로)그는 세상에서 가장 부유했다고 추정되는 인물-
 travelled through Timbuktu on a pilgrimage to Mecca
팀북투를 거쳐 메카로 이동했는데
 with an entourage of 12,000 slaves and enough gold
12000명의 노예들을 이끌고 금도 가져가면서
to cause hyperinflation in Mecca, Cairo and Medina.
메카 카이로 메디나에서 초인플레를 일으켰다
 But by the 19th century Timbuktu’s glory days were long gone
하지만 19세기에 이르러 팀북투의 영화는 쇠해졌고
 – and the Timbuktu of 2019 is an even sorrier sight.
오늘날은 훨씬 더 보기 안쓰러울 지경이다
 Decades of neglect by the Malian government and desertification in the surrounding countryside
수십년간 말리정부의 방치와 주변의 사막화로
 has left it impoverished.
도시는 황폐해졌다
 Today, it’s too dangerous for all but the hardiest travellers.
현재는 정말 건장한 여행자가 아니고선 그곳을 통과하는게 몹시 위험할 지경
 To read more about Timbuktu, from the city’s golden past to the complicated conflict tearing it apart at present, hit @1843mag and follow the link in the bio. Image: AKG #timbuktu #history #africa #mali #travel
해외 토막 뉴스
Repost @larepubblica
by @media.repost:
'Essere #leonardodavinci', il Genio rivive a 500 anni dalla morte tra cinema e palcoscenico.
'에쎄레 레오나르도 다빈치'란 제목으로,
천재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사후 500년만에 스크린과 무대 사이에서 되살아난다.
 In esclusiva al cinema Farnese di #Roma
로마 극장 파르네세에서만 단독상영하는 이 영화엔
il film che muove i passi dallo spettacolo teatrale che immagina un'intervista impossibile con il geniale inventore
이 독창적 발명가와의 인터뷰를 상상으로 담아냈다
- #leonardo500 #leonardo #davinci #LeonardoAlleScuderie #scuderiedelquirinale #roma #mostre2019 - Per saperne di più link in bio. 🔄: Seguici su @larepubblica: il mondo in diretta anche su Instagram




혹시 관람하실 분들은 로마현지주소로
56 Piazza Campo de' Fiori
가시면 됩니다 ㅋㅋㅋ
해외 토막 뉴스
Repost @newyorkercartoons
by @media.repost:
A cartoon by @j.a.k._. #TNYcartoons

"Sure, Elizabeth Warren's policies sound good, but how am I going to not pay for them?"

물론 엘리자베스 워렌의 (특히 세금관련) 공약들은 다 좋아. (좋지만,) 그거 안 내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민주당 차기대선 후보 엘리자베스 워렌이 (트럼프가 내세웠던 조세관련 정책들과는 정반대로) 법인세를(35%에서21%로 낮출게 아니라) 원안으로 복귀해야한다고, 또한 (순자산5천만달러 이상인 경우 연2%의 세금을 부과하겠다는)부자세를 강행하겠다고, 급진적 조세개혁안으로 인기상승하면서 부자들의 고민은, 어떻게 하면 나는 그 세금을 안낼것인가 ㅋㅋ

해외 토막 뉴스
Repost @larepubblica
by @media.repost:
L'annuncio di una storica dell'arte canadese:
캐나다의 한 미술사가가 발표하길
"Scoperta una nuova regina egizia".
"새로운 이집트 여왕의 발견"
 Una diarchia tutta al femminile sarebbe stata allestita
여성들의 양두정치가
 aspettando che il faraone-bambino Tutankhamon si facesse adulto:
어린 파라오 투탕카몬이 성인이 될때까지 행해졌다는데...
"Due donne, e non una,
"한 명이 아니라 두 명이
 regnarono sull'Egitto
이집트를 지배했다고
nel XIV secolo avanti Cristo".
BC 14세기에"
La ricerca pubblicata sul sito dell'Università del Québec di Montreal.
연구발표는 몬트리올의 퀘벡대학 사이트로.
 Nella foto:
Neferneferure con la sorella maggiore Neferbeferuaton Tasherit (a destra) -
사진은 네페르네페루레와 오른쪽은 그 언니 네페르베페루아톤 타쉐릿

 #akhenaton #tutankhamon #pharaon #egyptianmuseum #egypt #egyptian #egyptology #ancientegypt - Per saperne di più link in bio. 🔄: Seguici su @larepubblica: il mondo in
diretta anche su Instagram


해외 토막 뉴스
Repost @lemondefr
by @media.repost:
La première chose qui saute aux yeux en arrivant à Ornans,
오르낭에서 제일 먼저 눈에 띄는 건
 ce sont les falaises de calcaire
라임스톤 절벽인데
qui posent des horizontales blanches au milieu des pans de verdure
(나무들로 인한)초록색을 배경으로 하얀색 수평선을 이루고
enserrant ce petit bourg
작은 마을을 둘러싸고있으며
d’un peu plus de 4 000 habitants, dans le Doubs.
두 지역에 위치한 이 마을의 인구는 4000명이 조금 넘는다.
Ces rochers, on les connaît.
이 (절벽의) 돌을, 금방 알아볼 것이다.
 Ce sont les mêmes que l’on a vus dans les peintures de Gustave Courbet.
구스타브 쿠르베 그림에 나오는 바로 그 돌이니까.
 Car revenir à Ornans, la ville natale du peintre, son refuge, son histoire,
오르낭, 화가가 태어난 곳이자 안식처이자 그의 역사인 이 곳에 온다는 건
 c’est arpenter ses tableaux.
그의 그림속을 걷는것이다.
A l’occasion du bicentenaire de la naissance du peintre,
화가 출생 200주기를 맞아
 le département du Doubs multiplie les événements.
L’occasion d’un retour aux sources.
두 관청은 다양한 이벤트를 준비했다
 
-
Le château de Chillon (détail), 1874. Musée Gustave Courbet. Photo : Pierre Guenat
사진은 (오르낭에 있는)쿠르베 미술관의 (스위스의)쉬론성


해외 토막 뉴스
Repost @lemondefr
by @media.repost:
Charles Filiger a toutes les qualités pour être un artiste maudit et célèbre ;
샤를 필린제는 그 모든 특색(있는 화풍)으로, (생활고로) 불운했지만 이름을 알린 화가
mais, jusqu’à aujourd’hui, il n’est qu’un artiste méconnu,
하지만 오늘날엔 잘 알려져있지 않은뎃
ce que cette exposition à la galerie Daniel Malingue à Paris devrait corriger.
이번 대니얼멜랑규 화랑전시가 바꿔놓길.
 Elle réunit une soixantaine de ses œuvres,
그의 60개 작품을 선보이는데
parmi lesquelles beaucoup suscitent étonnement et admiration.
놀라움과 감탄을 자아낸다.
Par sa qualité et son nombre, elle aurait sa place dans un musée,
질적으로나 양적으로나 미술관전시에도 무리없고
et celui d’Orsay lui-même pourrait la montrer sans hésiter.
오르세에서도 바로 전시가 가능할 수준이다.
Elle est par ailleurs accompagnée d’un catalogue et d’un ouvrage mêlant biographie et correspondances
카탈로그 전기책자 관련자료들이 함께 전시되니
qui devraient enfin répandre le nom de l’artiste au-delà des spécialistes.
-
이 모든 노력들이 마침내 작가의 명성을 드날려주길.
« Pour représenter cette vue des environs de la maison du Pen-Du (« tête noire » en breton) au Pouldu, Filiger joue de la superposition d’aplats colorés et simplifiés ». FLORENT CHEVROT / GALERIE MALINGUE, PARIS
그림정보: 폴뒤에 있는 팡뒤의 집 인근 풍경. 컬러풀하면서 형태는 단순.

1 ··· 20 21 22 23
블로그 이미지

알아두면 이익이 되는 지식저널 (구독하시고 유용한 정보 챙기세요.)

지식보스